
Hyper Text Transfer Protocol HTTP
HTTP 상태 코드(HTTP Status Codes)는 클라이언트와 서버 간의 통신 상태를 나타내는 3자리 숫자로 구성된 코드로, 클라이언트가 다음에 취해야 할 동작을 결정하는 중요한 역할을 한다
상태 코드는 1XX부터 5XX까지 다양한 범주로 나뉘며, 각각 클라이언트와 서버 간의 통신 과정에서 발생하는 특정 상황을 나타낸다
1XX: 정보 응답
- 100 (계속): 클라이언트가 요청의 나머지 부분을 계속 전송해야 함을 의미
- 101 (프로토콜 전환): 서버가 클라이언트의 프로토콜 전환 요청을 승인
- 102 (처리 중): 요청을 처리 중이며 응답이 지연됨을 알림
2XX: 성공 응답
- 200 (성공): 요청이 성공적으로 처리됨
- 201 (작성됨): 요청이 성공적으로 처리되었고, 서버가 새로운 리소스를 생성함 ex) 회원 가입 후 새로운 사용자 계정 생성
- 202 (허용됨): 요청을 접수했지만 아직 처리되지 않음
- 204 (콘텐츠 없음): 요청이 성공했으나 응답 본문이 없음 ex) 데이터 삭제 요청 후 별도의 응답 데이터가 필요 없을 때
3XX: 리다이렉션 응답
- 301 (영구 이동): 요청한 리소스가 영구적으로 새로운 URL로 이동됨
- 302 (임시 이동): 요청한 리소스가 일시적으로 다른 URL에서 제공됨 ex) 사용자를 다른 페이지로 임시 리다이렉트할 때
- 304 (수정되지 않음): 리소스가 변경되지 않았으며, 캐시된 버전을 사용 가능
4XX: 클라이언트 오류
- 400 (잘못된 요청): 서버가 요청을 이해할 수 없거나 잘못된 데이터를 받았을 때 사용
- 401 (권한 없음): 인증이 필요하지만 제공되지 않았거나 실패한 경우 ex) 로그인 없이 보호된 리소스에 접근 시도
- 403 (금지됨): 서버가 요청을 거부, 인증은 성공했으나, 클라이언트에게 해당 리소스에 대한 접근 권한이 없는 경우
- 404 (찾을 수 없음): 요청한 리소스를 찾을 수 없음 ex) 잘못된 URL 요청
5XX: 서버 오류
- 500 (내부 서버 오류): 서버에서 처리 중 예기치 않은 오류 발생
- 502 (잘못된 게이트웨이): 게이트웨이 또는 프록시 서버가 상위 서버로부터 잘못된 응답을 받음
- 503 (서비스 이용 불가): 서버가 일시적으로 요청을 처리할 수 없음 (과부하 상태이거나 유지보수 중일 때)
보통 API 응답에서 사용되는 주요 상태 코드들만 다루었다
'Backend Basics > WebSecurity' 카테고리의 다른 글
세션 쿠키 속성 Secure, SameSite, HttpOnly 뭐임 (0) | 2024.10.22 |
---|---|
쿠키 토큰 세션 JWT 존맛탱? 뭐임 (0) | 2024.09.25 |
credentials 옵션이 뭐임? (0) | 2024.09.14 |